기사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도시개발법상 체비지에 관한 권리확보 방안 도시개발법상 체비지에 관한 권리확보 방안 도시개발법이 제정되기 이전 시행되었던 토지구획정리사업법(이하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에는 체비지는 시행자가 환지 처분 공고 있은 날의 익일에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었고(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제62조 제6항), 대법원 판례는 체비지를 전전 매수한 매수인도 점유나 체비지 관리대장의 등재와 같은 공시방법을 갖춘 경우 환지처분 공고 익일에 소유권을 원시적으로 취득한다고 판시하였으며(대법원 1993. 2. 12.선고 92다15635 판결), 체비지에 대한 권리는 일종의 물권유사 사용수익권에 해당한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이 공동저작물 vs 2차적 저작물 공동저작물 vs 2차적 저작물 한 작가가 드라마 극본 중 일부만을 작성한 상태에서 그 집필을 마치지 못하고 다른 작가가 추가 작업을 하여 단일한 드라마 극본이 완성된 경우, 해당 드라마 극본은 분리하여 이용할 수 없는 단일한 저작물이 되었다는 점에서 공동저작물로 볼 수 있을까? 공동저작물이라면 공동저작자 중 일부가 다른 공동저작자와의 합의 없이 이를 이용하더라도 그것은 저작재산권 행사방법을 위반한 행위가 되는 것에 그칠 뿐 저작재산권 침해행위까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공동저작물로 인정될 것인지 여부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참여 작가들에게 상속세 이해하기 상속세 이해하기 사람이 살면서 피할 수 없는 것이 두 가지 있다고 한다. 바로 죽음과 세금이다. 그런데 모든 것이 끝나는 죽음도 세금만은 비껴갈 수 없다. 상속재산에 상속세가 붙기 때문이다. 실로 세금은 삶과 죽음을 막론하고 우리와 뗄 수 없는 관계이다.그런데도 보통의 사람들은 상속세에 묘한 거리감을 느끼는 것 같다. '재벌도 아닌데 상속세가 문제될 리 없다'는 안일한 생각과 '생전에 죽음 이후를 미리 고려하는 것은 왠지 불편하다'는 관념 때문으로 보인다.죽음도 비껴갈 수 없어실제로 상속세는 최고세율 50%에 달하는 무거운 세금인데도 불구하 공개된 개인정보의 수집과 이용 공개된 개인정보의 수집과 이용 이제 인터넷 검색사이트를 통해 유명인들의 프로필을 찾는 것 정도는 일상이 되었고, 일반인들의 개인정보도 조금만 노력하면 어렵지 않게 상당히 찾아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점차 개인이 스스로의 정보에 대해 어느 정도의 통제권을 가질 수 있는지를 관심의 대상으로 만들었다.이런 가운데 최근 대법원이 한 공립대 교수가, 자신의 공개된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영리목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이유로 법률정보 제공 사이트인 로앤비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안에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하였다(대법원 2016. 8. 17. 선고 기반시설부담금의 부담 주체 기반시설부담금의 부담 주체 대단위 공동주택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도로, 공원, 하수도 등의 기반시설이 필요하고, 이러한 기반시설의 설치비용을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하는지, 아니면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조건이나 협약서 등을 통하여 민간사업시행자에게 부담시킬 수 있는지에 관하여 많은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 세대수 약 1만세대, 대지면적 약 84만제곱미터의 광활한 용인시 성복지구에 관해서도 10여년에 걸쳐서 5000억원의 기반시설 설치비용의 부담 주체를 둘러싼 분쟁이 있었다.그런데 대법원은 지난 7월 14일에 성복지구에 관한 기반시설 부동산개발사업과 명의신탁 부동산개발사업과 명의신탁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따른 사업이나 그 외 다수의 토지를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부동산개발사업의 경우, 사업의 성사가 확실하지 않은 사업초기에 최대한 많은 사업부지를 신속하게, 그리고 사업의 성공에 대한 기대이익이 반영되지 않은 가격에 취득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나 수익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특히 사업시행자가 전면에 나설 경우 매수인의 기대심리를 촉발시켜 매수가격을 끌어 올리게 되므로, 사업시행자의 입장에서는 그 이름을 알리지 않고 제3자를 내세워 이른바 토지작업을 하고자 하는 유혹을 받을 수 있다. 익명 토지작업 유혹 세금의 종류와 체계 세금의 종류와 체계 최근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글을 보았다. "태어나니 주민세, 살았을 때 줬더니 증여세, 죽었더니 상속세, 피땀 흘려 노동했더니 갑근세, 힘들어서 한 대 물었더니 담배세, 퇴근하고 한잔했더니 주류세…" 이런 식으로 여러 종류의 '세'를 들고 있었다. 댓글을 보니, "세금의 종류가 이렇게 많았느냐"부터 "우리가 평소에 이렇게 많은 세금을 내고 있었다니!"까지 그 반응도 다양했다. 위 글은 '세금의 바다' 속에 살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잘 나타내고 있다. 다만 전문가의 관점에서 볼 때 세금을 제대로 설명한 것은 아니다. 재가공 골프공의 상표권 침해 여부 재가공 골프공의 상표권 침해 여부 LPGA에서 선전하는 우리 선수들의 소식은 이제 일상적인 것이 되었다. 국내 골프 인구는 이미 500만명을 넘고 있고, 골프에 새로 입문하는 사람들의 수는 세기도 어려울 정도이다. 그런 초보 골퍼 시절에는 물론이요, 상당한 수준에 이른 사람들도 필드에 나갈 때마다 여러 개씩 잃어버리곤 하는 골프공 가격은 제법 부담이 된다. 그러다 보니 분실된 골프공을 수거하여 다시 판매하는 중고 골프공 시장의 규모도 제법 커지게 되었고, 그 판매 태양도 분실된 골프공을 단순히 세척하여 판매하는 정도를 넘어서, 손상이 심한 골프공의 표면을 벗겨 내고 셀프주유기 판매금지 사건 셀프주유기 판매금지 사건 특허방법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물건을 생산 · 판매하는 경우 특허권 침해가 성립할까?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최근 '피고가 생산 · 판매하는 셀프주유기를 사용하여 주유하는 과정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게 되면, 신용카드 결제방법에 관한 원고의 특허와 균등범위에 속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고 보아 특허권의 간접침해를 인정한 후, 피고에게 셀프주유기 생산 · 판매의 금지를 명하는 판결을 선고하였다(서울중앙지법 2016. 1. 22. 선고 2014가합552322 판결). 생산 ㆍ 판매 금지 명해피고가 생산 '회피연아 사건' '회피연아 사건' 전기통신사업법에 의하면, 법원, 검사 또는 수사관서의 장, 정보수사기관의 장 ('수사기관')은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재판, 수사, 형의 집행 또는 국가안전보장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수집을 위하여 (1)이용자의 성명, (2)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 (3)이용자의 주소, (4)이용자의 전화번호, (5)이용자의 아이디, (6)이용자의 가입일 또는 해지일에 관한 자료의 제출 ('통신자료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을 받은 전기통신사업자는 그 요청에 따라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전기통신사업법 83조 3항).그런데 전 개정 특허법의 자료제출명령 제도 개정 특허법의 자료제출명령 제도 지난 3월 3일, 특허법 개정안이 다른 80여개 법안과 함께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직전 개정법이 2월 4일에 통과된 이후 한 달만의 추가 개정으로 6월 30일부터 시행된다. 이번 개정법은 특허권을 포기한 경우 등의 특허료 또는 심판청구료 반환, 손해액 산정을 위한 감정에서 당사자의 설명의무, 자료제출 명령 제도 개선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중 자료제출명령 제도(132조)가 개정법의 핵심인데, 그 동안 특허권자가 증거의 편재로 인하여 입증에 어려움을 겪었던 실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자료제출명령 제도의 개정내용 BM 발명에 기초한 특허권 침해금지 판결 BM 발명에 기초한 특허권 침해금지 판결 특정한 영업아이디어를 온라인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하는 영업방법 발명을 통상 비즈니스모델 발명(Business Model 발명, 이하 'BM 발명')이라고 한다. 특허청 통계에 따르면, 1999년 BM 발명 출원은 1,133건에서 2000년 9,655건으로 급증한 이후 IT벤처 버블 붕괴 등의 영향으로 2001년에는 5,962건이 출원되어 증가세가 줄어들었으나, 그 후 연간 약 5,000여건 수준의 출원이 유지되고 있으며 2013년에는 7,193건이 출원되었다.이와 같은 수치는 동 기간 BM 발명 출원 건수가 크게 업무용 승용차 과세제도 개편 업무용 승용차 과세제도 개편 새해가 되면 챙겨보아야 할 사항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세제개편일 것이다. 세제가 어떻게 바뀌는지는 우리의 신년계획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다준다.연초에 세제개편에 대한 안내 글이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올해부터 바뀐 세제를 살펴보니, 유독 눈에 띄는 항목이 있다. 지난해 말 국회에서 통과된 '업무용 승용차 과세제도 개편'이다. 작년에 많이 공론화 된 내용이라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을 들여다보니 변화의 폭이 생각보다 크다. 앞으로 하위법령 정비가 마무리되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커다란 변화가 예상된다.커다란 '미투제품'으로 포장되는 '베끼기'의 유혹 '미투제품'으로 포장되는 '베끼기'의 유혹 국내에서도 판매되고 있는 '포키(Pocky)'는 일본제과업체 에자키글리코사가 1966년에 출시한 대표 제품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비슷한 초콜릿 제품으로 한국 롯데제과가 1983년에 출시한 '빼빼로'가 오랫동안 인기를 끌고 있다. 이들 제품의 1년 매출을 좌우한다는 빼빼로데이(일본에서는 '포키의 날'이라고 한다)를 앞두고 지난해 한국 롯데제과가 독특한 포장 형태의 '프리미어 빼빼로'라는 제품을 한정판으로 출시했다. 그런데 이 제품의 포장 디자인이 문제였다. 에자키글리코 청구 전부 인용에자키글리코사는 롯데제과의 제품포장 정보통신 분야 회고와 새해 전망 정보통신 분야 회고와 새해 전망 [통신 ∙ 방송법]통신 ∙ 방송 분야의 경우, 단말기유통법과 결합상품, 인수 ∙ 합병이 지난 해 주요 이슈였으며, 새해에도 그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말기유통법은 2014년 10월 최초 시행되어 2015년 한 해 동안 안착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시장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놓았다. 기존의 시장은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번호이동을 통해 이통사를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지원금(단말기보조금)을 자주 많이 받으면서 단말기를 바꾸는 모습이었는데, 이러한 시장이 차별성이 크다고 보아 시정을 위해 단말기유통법이 제정되었다. 그 핵심은 (1)이동통신사 '거액 벌금' Focus Media의 상장 전망 '거액 벌금' Focus Media의 상장 전망 나스닥에 상장하여 한때 중국 미디어 제1주로 이름을 떨치고 엘리베이터LCD 광고로 유명한 Focus Media(分衆傳媒, 펀중촨메이)가 나스닥에서 자진퇴출한 지 2년이 지난 올 9월 30일, 미국 SEC(Securities Exchange Commission)는 나스닥 상장기간 동안 발생한 위법행위와 관련하여 Focus Media와 CEO인 장난춘(江南春)에게 벌금 5560만달러를 부과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2년 전에 이미 나스닥에서 자진퇴출한 Focus Media와 그 CEO에게 SEC는 이렇게 엄청난 금 미신고 해외소득, 재산 자진신고제도 미신고 해외소득, 재산 자진신고제도 필자가 어렸을 때 "자수하여 광명 찾자!"라는 표어를 자주 본 기억이 난다. 지금도 귀에 익은 문구이지만, 이제는 구시대의 유물이나 우스갯소리 정도로 취급되는 듯하다. 그런데 이러한 말이 세법에 있다면 믿어지는가? 올해부터 시행된「국제조세조정에 관한법률」38조를보면, '자진신고에대한특례'라는 제목의 조문을 두고 있다. 국세청에 그동안 신고하지 않은 해외소득과 재산을 자진신고하면 상당 부분 봐주겠다는 내용이다. 법 규정인 만큼 표현은 정제되어 있지만, 한 마디로 "자수하여 광명 찾자"는 말과 다름없다.정말 이러한 법 규정이 연극 '친정엄마' 대본 사건 연극 '친정엄마' 대본 사건 작년 말에 저작권 분야에서 의미 있는 판결이 나왔다. 저작권법 위반으로 기소된 형사사건인데, 1심 및 2심 법원에서 연이어 무죄가 선고되고, 이에 대해 검사가 상고하였으나, 대법원은 2년여만에 상고를 기각하는 판결을 선고했다.수필, 연극 제목 등에 기초해 소위 '친정엄마' 대본 사건이라 부를 수 있는 사안이다. 극작가와 각색가 사이에 연극 '친정엄마'의 최종대본에 대한 권리관계 및 그 저작물 이용과 관련하여 일어난 법적 다툼이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공동저작물 성립요건으로서의 '공동창작의사의 의미'에 대해 밝히고, 특히 PF사업의 새로운 신용보강 방안 PF사업의 새로운 신용보강 방안 오랜 침체 끝에 아파트 분양시장이 점차 활기를 찾아가고 있다. 신규 분양이 봇물을 이루면서 사업비 조달을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수요도 많아졌다. PF로 자금을 대출하는 금융기관(이하 'PF 대주')의 입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조건이 시공사(이하 건설회사와 혼용함)의 신용보강이다. 그런데 과거 주택경기 침체로 인한 아파트 미분양 등 사업의 정상적인 추진이 난항을 겪자, PF 시 과도한 연대보증 또는 채무인수를 한 건설회사들이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고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를 신청한 사례들이 많았다. PF로 자금을 조달받 외국 클라이언트와의 커뮤니케이션 외국 클라이언트와의 커뮤니케이션 국내 클라이언트의 경우에는 사내변호사 등 법률전문가들이 상대방이 되는 경우도 많고 한국의 법 제도에 관한 상식적인 부분이 상당히 공유되어 있지만 외국 클라이언트의 경우에는 외국에서의 상식이 전제되어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상당한 주의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외국 클라이언트에게 실사작업 후의 법률 이슈를 설명하면 국내 클라이언트라면 쉽게 이해할 이슈에 관하여 한없이 추가 질문이 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외국 클라이언트의 눈높이에서 생각하고 어떻게 하면 이해하기 쉽게 법률 이슈를 설명할 것인가 이전이전12345678910다음다음다음